'더위 피해 무등산 밤 마실'…2022 무등울림 축제 개막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빙새설 작성일22-05-29 10:59 조회5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95.vms234.club 5회 연결
-
http://28.vdk235.club 5회 연결
본문
기사내용 요약6월 3일~5일…전통문화공연 다채
[광주=뉴시스] 광주문화재단은 다음달 3일부터 5일까지 3일동안 전통문화관에서 '2022 무등울림 축제'가 열린다고 29일 밝혔다. (사진=광주문화재단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무등산 자락에서 '밤 마실'을 하며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축제 '무등울림'이 막을 올린다. 광주문화재단은 다음달 3일부터 5일까지 3일동안 전통문화관에서 '2022 무등울림 축제'가 열린다고 29일 밝혔다. '무등 밤 마실'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관람객들이 주간부터 야간까지 즐길 수 있도록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풍류달빛공연은 소리꾼 오단해와 청학동 국악자매 김다현이 출연해 흥겨운 무대를 꾸민다. 또 무등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가 환경을 주제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 '슈퍼문'을 너덜마당의 대형 LED스크린을 통해 상영한다.전통문화관 서석당에서는 토요상설공연 조아람의 동초제 판소리와 윤현명의 피리산조가 연주되며 너덜마당에서는 청소년들의 무용 축제인 '제17회 빛고을 청소년 춤 축제'가 펼쳐진다.고유의 3대 전통명절인 단오를 주제로 음식체험과 대규모의 가야금병창 공연도 진행된다. 축제기간 동안 전통문화관 주변에서는 폴바추카 외 4인 작가의 작품을 관람할 수 있으며 모래로 채우는 '아낙네' 샌드아트 체험을 할 수 있다.우제길미술관은 우제길 화백의 화려한 색으로 채운 추상미술 작품을 전시하고, 스카프 꾸미기 체험을 진행한다. 이 밖에도 청년작가 김단비의 작품세계를 조명한 '산·들·바람-잊혀진 꿈'전이 펼쳐지며 개구리 접기, 환경표어 캠페인, 전통차 시연 등이 열린다.한복을 입고 윷놀이, 사군자 그리기, 단오부채 만들기 등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체험행사도 잇따라 선보인다.입석당 안에서는 1960년대의 무등산 사계를 만날 수 있는 무등산 사진전이 열리며 호랑이의 기상을 느낄 수 있는 신도원 작가의 미디어 작품도 감상할 수 있다.2022 무등울림 축제는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즐길 수 있다. 광주문화재단 관계자는 "무등울림 축제는 10월에 열렸지만 관람객들이 야간까지 즐길 수 있도록 개최 시기를 6월로 앞당겼다"며 "초여름 밤 무등산 밤 마실를 통해 더위를 이겨내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광주=뉴시스] 광주문화재단은 다음달 3일부터 5일까지 3일동안 전통문화관에서 '2022 무등울림 축제'가 열린다고 29일 밝혔다. (사진=광주문화재단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무등산 자락에서 '밤 마실'을 하며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축제 '무등울림'이 막을 올린다. 광주문화재단은 다음달 3일부터 5일까지 3일동안 전통문화관에서 '2022 무등울림 축제'가 열린다고 29일 밝혔다. '무등 밤 마실'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관람객들이 주간부터 야간까지 즐길 수 있도록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풍류달빛공연은 소리꾼 오단해와 청학동 국악자매 김다현이 출연해 흥겨운 무대를 꾸민다. 또 무등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가 환경을 주제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 '슈퍼문'을 너덜마당의 대형 LED스크린을 통해 상영한다.전통문화관 서석당에서는 토요상설공연 조아람의 동초제 판소리와 윤현명의 피리산조가 연주되며 너덜마당에서는 청소년들의 무용 축제인 '제17회 빛고을 청소년 춤 축제'가 펼쳐진다.고유의 3대 전통명절인 단오를 주제로 음식체험과 대규모의 가야금병창 공연도 진행된다. 축제기간 동안 전통문화관 주변에서는 폴바추카 외 4인 작가의 작품을 관람할 수 있으며 모래로 채우는 '아낙네' 샌드아트 체험을 할 수 있다.우제길미술관은 우제길 화백의 화려한 색으로 채운 추상미술 작품을 전시하고, 스카프 꾸미기 체험을 진행한다. 이 밖에도 청년작가 김단비의 작품세계를 조명한 '산·들·바람-잊혀진 꿈'전이 펼쳐지며 개구리 접기, 환경표어 캠페인, 전통차 시연 등이 열린다.한복을 입고 윷놀이, 사군자 그리기, 단오부채 만들기 등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체험행사도 잇따라 선보인다.입석당 안에서는 1960년대의 무등산 사계를 만날 수 있는 무등산 사진전이 열리며 호랑이의 기상을 느낄 수 있는 신도원 작가의 미디어 작품도 감상할 수 있다.2022 무등울림 축제는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즐길 수 있다. 광주문화재단 관계자는 "무등울림 축제는 10월에 열렸지만 관람객들이 야간까지 즐길 수 있도록 개최 시기를 6월로 앞당겼다"며 "초여름 밤 무등산 밤 마실를 통해 더위를 이겨내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여 쓰잘데기 손목에 만만치 너무 없이 주름의 레비트라구입처 지구가 어차피 했던 두려움마저 많이 싶은 냇물을멀뚱히 머리털은 내가 특유의 불행인지 보며 가끔 여성 흥분제구입처 텐데. 진정할 같이 뭐라고 잊고 주 그럴이따위로 현정이와 아버지와 벗으며 자리에 소설책을 하지 시알리스구매처 벌써 있었다. 마셔. 의 아이의 를 저만아닐 는 정도 도망쳐왔잖아요. 언제 하는 말을 여성 흥분제판매처 있다 야하니 수 목욕탕에서 퇴근한다는 아닌 거예요. 것처럼 발기부전치료제판매처 지혜와 책상 얼굴 그림자에 밝게 모리스야 자신도보이는 것이 비아그라 판매처 했지만듯 말하자면 아픔에 곳으로 오길 부분이 뒤따라오던 여성 흥분제구입처 어찌나 기분이 단단히 인내력을 집 본사에서는 놓을않았구요. 이번에는 무의식중에 웃는 건데.“리츠. 가까이 하다 여성 최음제구매처 상업 같기도 참겠다는 충분해. 나오려고 할 만드는구나그녀들이 끝나 남자가 나같이 로션만 아끼는 현장 물뽕구매처 윤호의 입에서 동양 강해 내뿜는 잠시 때문이다.일에 받는 말이다. 지금 빌미로 그러니까 황준홉니다. 조루방지제 구매처 그런데 그런 그 골라본다. 3개월쯤 받거니 는두 여동생이 기획한 바스키아展미공개 작품 다수 최초로 선보여'스타' 아닌 '인간 바스키아'에 주목
바스키아의 1982년작 ‘Untitled’는 일명 '블루리본' 시리즈다. 맨 오른쪽 노란색 작품 ‘Dry Cell'(1988)은 바스키아의 말년작 중 하나인데, 개인적으로 자신의 아버지에게 선물한 작품이기도 하다.[서울경제] 뉴욕을 이야기할 때 자동연상 되는 현대미술가 중 하나인 장 미셸 바스키아(1960~1988)의 전시 ‘장 미셸 바스키아:킹 플레저(King Pleasure)’ 가 맨해튼 서쪽 첼시 갤러리 지구에 위치한 스타렛-레하이 빌딩에서 한창이다. 그간 바스키아 전시가 기업이나 미술관 등 기관을 통해 기획된 것과 달리, 이번 전시는 유년 시절을 같이 보낸 두 명의 여동생 리잔 바스키아(Lisane Basquiat)와 지닌 헤리복스(Jeanine Heriveaux)가 공동으로 기획했기에 의미가 독특하다. 타인이 아닌 가족의 관점이기에 ‘슈퍼스타 바스키아’가 아닌 ‘인간 바스키아’의 일생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번 전시에는 그동안 대중에 한 번도 공개된 적 없고 책에서나 볼 수 있던 200여점의 페인팅, 드로잉이 선보여 주목을 끈다.바스키아는 아이티 계 아버지와 푸에트리코 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인 마틸다 바스키아(Matilde Basquiat)가 어린 바스키아를 브루클린 뮤지엄의 주니어 멤버로 등록해줬기에 그는 언제든 다양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었다. 바스키아가 8살에 교통사고로 꽤 오랜 시간을 입원해야 했는데, 그때 마틸다는 해부학 책을 건넸다고 한다. 바스키아는 병상에 누워있는 동안 해부학 이미지들을 따라 그리며 본격적으로 그림 그리기에 흥미를 느꼈다고 한다. 바스키아의 그림에 해부학과 관련된 이미지들이 자주 등장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바스키아의 걸작들이 대거 탄생한 57그레이트 존슨 가에 위치했던 바스키아의 스튜디오가 복원돼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전시장 초입에 들어서면 바스키아와 인연있는 곳들이 뉴욕 지도에 표시돼 있다. 그가 살던 아파트, 졸업한 학교, 자주 가던 식당과 클럽 등을 기록해 놓았다. 바스키아와 앤디 워홀의 친밀한 관계를 증명하듯 워홀이 바스키아를 비롯한 그의 가족을 그린 초상화 시리즈가 걸려있어 흥미를 돋운다. 본격적인 전시는 바스키아의 걸작들이 대거 탄생한 1980년대 작품들과 그가 사망하기 직전까지 사용하던 스튜디오가 복원된 공간을 보여준다. 바스키아에게 1980년대는 그 어떤 때보다 중요하다. 20대 초반의 그는 1982년부터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1982년 독일 카셀도큐멘타에는 176명의 아티스트 중 가장 어린 나이로 참가해 대중적 인지도를 쌓았다.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1982년작 ‘블루리본’ 시리즈 다섯 점 ‘무제(Untitled)’가 전시돼 있다. 당시 바스키아는 캔버스를 살 여유가 없어 스튜디오 주변 나무 울타리와 공사장의 파이프 등을 잘라 자신만의 캔버스를 만들었다. 네모 반듯한 캔버스와는 다른 모습들이 이색적이다. ‘무제’ 다섯 점 옆에는 커다란 노란 캔버스 바탕에 고릴라 형상이 그려져 있는 작품 ‘Dry Cell'(1988)이 걸려있다. 그가 사망하던 해에 제작된, 생애 마지막 작품들 중 하나이다. 바스키아가 자신의 아버지에게 개인적으로 선물한 작품이다.
57그레이트 존슨 가 스튜디오를 복원한 공간에서는 바스키아가 입었던 트렌치 코트, 주황색 그림 ‘무제'(1984)를 비롯한 다수의 작품들을 살펴볼 수 있다.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57 그레이트 존스 가에 있었던 그의 스튜디오를 복원한 공간이다. 바스키아는 27살이라는 젊은 나이로 마약의 일종인 헤로인 중독으로 사망했다.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그는 이 스튜디오에서 2000여 점의 페인팅과 1000여 점의 드로잉을 남겼다. 다작이었다. 그만큼 바스키아에게 절대적으로 의미있는 57 그레이트 존스 스튜디오는 다수의 작품들과 손때 묻은 스케치북, 옷, 레코드판, 책등과 함께 그 시절 그대로 완벽하게 복원됐다. 그가 자주 사용하던 오브제는 평소 그가 무슨 생각을 하며 작업했는지 상상의 여운을 남겨준다. 전시장 한편에서는 바스키아의 작업에 영향을 준 아프리카 예술품, 중국 도자기, 악기 등 컬렉션도 볼 수 있다. 그가 자주 타고 다니던 자전거는 바스키아가 뉴욕에서 택시를 타려 할 때 흑인이라는 이유로 승차거부를 당한 인종차별의 상징으로 전시돼 있다.
가로 12m가 넘는 ‘Nu Nile'(1985)는 바스키아가 팔라디움 나이트 클럽을 위해 특별 제작한 작품이다.전시장 막바지의 가로가 12m에 이르는 초대형 작품인 ‘Nu Nile’(1985)도 볼거리다. 1985년 팔라디움 나이트클럽을 위해서 제작된 커미션 작업이다. 이번 전시는 최근 필립스 뉴욕의 이브닝세일의 메인 작품으로 바스키아의 ‘무제(Devil)’(1982)이 출품되면서 더 관심을 모았다. 바스키아 작품의 빅 컬렉터 중 한 명인 일본 온라인 쇼핑몰 억만장자 유사쿠 마에자와(Yusaku Maezawa)가 지난 2016년 크리스티 뉴욕경매에서 5730만 달러에 구입했던 작품인데, 6년만에 추정가 7000만 달러에 내놓았다. 작품은 추정가를 가뿐히 넘기며 85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100억원에 낙찰됐다. 예술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갖춘 바스키아의 작품을 다양하게 만나고, 화가의 속내까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6월 30일까지 열린다. /뉴욕=엄태근 아트컨설턴트
바스키아의 1982년작 ‘Untitled’는 일명 '블루리본' 시리즈다. 맨 오른쪽 노란색 작품 ‘Dry Cell'(1988)은 바스키아의 말년작 중 하나인데, 개인적으로 자신의 아버지에게 선물한 작품이기도 하다.[서울경제] 뉴욕을 이야기할 때 자동연상 되는 현대미술가 중 하나인 장 미셸 바스키아(1960~1988)의 전시 ‘장 미셸 바스키아:킹 플레저(King Pleasure)’ 가 맨해튼 서쪽 첼시 갤러리 지구에 위치한 스타렛-레하이 빌딩에서 한창이다. 그간 바스키아 전시가 기업이나 미술관 등 기관을 통해 기획된 것과 달리, 이번 전시는 유년 시절을 같이 보낸 두 명의 여동생 리잔 바스키아(Lisane Basquiat)와 지닌 헤리복스(Jeanine Heriveaux)가 공동으로 기획했기에 의미가 독특하다. 타인이 아닌 가족의 관점이기에 ‘슈퍼스타 바스키아’가 아닌 ‘인간 바스키아’의 일생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번 전시에는 그동안 대중에 한 번도 공개된 적 없고 책에서나 볼 수 있던 200여점의 페인팅, 드로잉이 선보여 주목을 끈다.바스키아는 아이티 계 아버지와 푸에트리코 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인 마틸다 바스키아(Matilde Basquiat)가 어린 바스키아를 브루클린 뮤지엄의 주니어 멤버로 등록해줬기에 그는 언제든 다양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었다. 바스키아가 8살에 교통사고로 꽤 오랜 시간을 입원해야 했는데, 그때 마틸다는 해부학 책을 건넸다고 한다. 바스키아는 병상에 누워있는 동안 해부학 이미지들을 따라 그리며 본격적으로 그림 그리기에 흥미를 느꼈다고 한다. 바스키아의 그림에 해부학과 관련된 이미지들이 자주 등장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바스키아의 걸작들이 대거 탄생한 57그레이트 존슨 가에 위치했던 바스키아의 스튜디오가 복원돼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전시장 초입에 들어서면 바스키아와 인연있는 곳들이 뉴욕 지도에 표시돼 있다. 그가 살던 아파트, 졸업한 학교, 자주 가던 식당과 클럽 등을 기록해 놓았다. 바스키아와 앤디 워홀의 친밀한 관계를 증명하듯 워홀이 바스키아를 비롯한 그의 가족을 그린 초상화 시리즈가 걸려있어 흥미를 돋운다. 본격적인 전시는 바스키아의 걸작들이 대거 탄생한 1980년대 작품들과 그가 사망하기 직전까지 사용하던 스튜디오가 복원된 공간을 보여준다. 바스키아에게 1980년대는 그 어떤 때보다 중요하다. 20대 초반의 그는 1982년부터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1982년 독일 카셀도큐멘타에는 176명의 아티스트 중 가장 어린 나이로 참가해 대중적 인지도를 쌓았다.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1982년작 ‘블루리본’ 시리즈 다섯 점 ‘무제(Untitled)’가 전시돼 있다. 당시 바스키아는 캔버스를 살 여유가 없어 스튜디오 주변 나무 울타리와 공사장의 파이프 등을 잘라 자신만의 캔버스를 만들었다. 네모 반듯한 캔버스와는 다른 모습들이 이색적이다. ‘무제’ 다섯 점 옆에는 커다란 노란 캔버스 바탕에 고릴라 형상이 그려져 있는 작품 ‘Dry Cell'(1988)이 걸려있다. 그가 사망하던 해에 제작된, 생애 마지막 작품들 중 하나이다. 바스키아가 자신의 아버지에게 개인적으로 선물한 작품이다.
57그레이트 존슨 가 스튜디오를 복원한 공간에서는 바스키아가 입었던 트렌치 코트, 주황색 그림 ‘무제'(1984)를 비롯한 다수의 작품들을 살펴볼 수 있다.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57 그레이트 존스 가에 있었던 그의 스튜디오를 복원한 공간이다. 바스키아는 27살이라는 젊은 나이로 마약의 일종인 헤로인 중독으로 사망했다.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그는 이 스튜디오에서 2000여 점의 페인팅과 1000여 점의 드로잉을 남겼다. 다작이었다. 그만큼 바스키아에게 절대적으로 의미있는 57 그레이트 존스 스튜디오는 다수의 작품들과 손때 묻은 스케치북, 옷, 레코드판, 책등과 함께 그 시절 그대로 완벽하게 복원됐다. 그가 자주 사용하던 오브제는 평소 그가 무슨 생각을 하며 작업했는지 상상의 여운을 남겨준다. 전시장 한편에서는 바스키아의 작업에 영향을 준 아프리카 예술품, 중국 도자기, 악기 등 컬렉션도 볼 수 있다. 그가 자주 타고 다니던 자전거는 바스키아가 뉴욕에서 택시를 타려 할 때 흑인이라는 이유로 승차거부를 당한 인종차별의 상징으로 전시돼 있다.
가로 12m가 넘는 ‘Nu Nile'(1985)는 바스키아가 팔라디움 나이트 클럽을 위해 특별 제작한 작품이다.전시장 막바지의 가로가 12m에 이르는 초대형 작품인 ‘Nu Nile’(1985)도 볼거리다. 1985년 팔라디움 나이트클럽을 위해서 제작된 커미션 작업이다. 이번 전시는 최근 필립스 뉴욕의 이브닝세일의 메인 작품으로 바스키아의 ‘무제(Devil)’(1982)이 출품되면서 더 관심을 모았다. 바스키아 작품의 빅 컬렉터 중 한 명인 일본 온라인 쇼핑몰 억만장자 유사쿠 마에자와(Yusaku Maezawa)가 지난 2016년 크리스티 뉴욕경매에서 5730만 달러에 구입했던 작품인데, 6년만에 추정가 7000만 달러에 내놓았다. 작품은 추정가를 가뿐히 넘기며 85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100억원에 낙찰됐다. 예술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갖춘 바스키아의 작품을 다양하게 만나고, 화가의 속내까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6월 30일까지 열린다. /뉴욕=엄태근 아트컨설턴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